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단 취업 준비생 필독! EPL 재정과 마케팅 이해하기

by damaum Sport's 2025. 6. 29.

 

구단 취업 준비생 관련 사진

 

스포츠 구단에서 일하고자 하는 취업 준비생이라면, 단순한 경기력이나 선수 정보만이 아닌 구단 운영의 전반적인 시스템, 특히 재정 구조와 마케팅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PL(프리미어리그)은 세계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축구 리그로, 그 안에 포함된 각 구단은 ‘스포츠 기업’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구단 취업을 준비 중인 이들을 위해 EPL 구단의 재정 구조와 마케팅 전략을 실무 중심으로 분석하고, 취업 준비에 필요한 시야를 넓혀드리고자 합니다.

EPL 구단 재정 운영의 구조와 핵심 지표

EPL 구단의 재정은 크게 ①방송 수익, ②티켓 매출, ③스폰서십 및 상업 수익, ④이적 수익, ⑤브랜드 관련 부가 수익 등으로 구성됩니다. 상위권 구단일수록 방송 수익과 상업 수익 비중이 높으며, 하위권 구단은 티켓 및 커뮤니티 중심 수익 의존도가 큽니다. 예를 들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연간 약 7억 파운드의 수익을 올리며, 이 중 약 40%가 글로벌 스폰서십과 상업 활동에서 발생합니다. 반면, 브렌트포드나 번리 같은 중소 구단은 연간 1억 5천만 파운드 수준의 수익을 기록하며, 경기당 티켓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이상입니다. 구단 재정에서는 손익계산서 외에도 연봉 대비 수익 비율, 선수단 가치 대비 ROI, 부채 비율 등 다양한 지표가 중요한 평가 요소로 사용됩니다. 이는 구단 운영에 직결되며, 취업 시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EPL 마케팅 전략: 브랜딩, 팬확보, 글로벌 확장

EPL 구단의 마케팅 전략은 단순한 이벤트 수준을 넘어 구단의 브랜딩과 장기 수익 창출 구조에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첼시는 디지털 브랜딩을 활용해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 토트넘은 손흥민 효과를 극대화해 아시아 팬을 빠르게 흡수했습니다. 리버풀은 지역 커뮤니티와 글로벌 팬의 연결을 전략적으로 묶어, ‘공감’ 기반의 팬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케팅팀에서는 콘텐츠 제작, SNS 운영, 스폰서십 관리, 이벤트 기획 등 다양한 업무가 이뤄지며, 특히 팬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CRM 전략이 중요해졌습니다. 마케팅 예산은 상위 구단 기준으로 연간 7천만~1억 파운드에 달하며, 디지털 마케팅·OTT 콘텐츠·인터랙티브 캠페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실무에선 스토리텔링 능력과 디지털 툴 활용 능력이 요구되며, 마케팅 기획부터 분석까지 다양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EPL 구단 입사 관련 사진

구단 취업 준비생이 알아야 할 실무 포인트

EPL 구단 입사를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이라면 다음 세 가지 역량을 특히 주목해야 합니다.
첫째, 데이터 분석 능력입니다. 매출 구조, 팬 행동, SNS 성과 등을 분석해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해석 역량이 필수입니다. 엑셀, 구글 애널리틱스, 파이썬 기초 등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디지털 마케팅 경험입니다. SNS 콘텐츠 운영, 캠페인 사례 분석, 콘텐츠 제작 경험은 포트폴리오로 매우 효과적입니다.
셋째, 글로벌 시야와 스포츠 비즈니스 이해력입니다. 구단은 글로벌 기업이기 때문에, 다국적 스폰서와 협업하거나 해외 팬과 소통하는 능력도 요구됩니다. 실제로 EPL 구단의 채용공고에는 "CRM 이해", "글로벌 스포츠 트렌드에 대한 관심", "멀티채널 콘텐츠 운영 경험"이 주요 우대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스포츠 경영·마케팅 전공 외에도 다양한 툴 사용 능력과 실무 경험이 결합된다면, 구단 입사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EPL 구단의 재정과 마케팅 시스템은 스포츠 기업 운영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취업 준비생이라면 단순한 팬심을 넘어서, 실제 재무 구조와 마케팅 전략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포트폴리오를 실무 중심으로 구성하고, EPL 구단 사례를 바탕으로 한 자기소개서나 면접 준비에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스포츠 구단은 이제 '팬서비스 조직'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조직'입니다.